본문 바로가기
재테크앱테크

로봇 AI 관련 ETF BEST 3(BOTZ, ROBO, IRBO) 총정리! 미래 먹거리 산업에 투자하라

by 포레스트 가이드 2023. 1. 27.
반응형

AI ETF

최근 Open-AI의 등장으로 Chat-GPT 등 AI 기술에 대한 기대와 논란이 점차 심화되고 있는데요, 검색계의 최강자인 구글 조차 코드 레드를 발령하며 신성장 동력을 Open-AI에 빼앗기진 않을까 노심초사 하고 있다고 합니다. 인공지능 AI의 등장으로 현재의 산업구조가 10년 뒤에는 정말 많이 달라져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드는데요, 이미 수천억 달러 규모의 AI 관련 글로벌 시장이 형성되어 있다고 합니다. 이는 스마트폰을 통한 얼굴 인식, 인터넷 검색 예측 알고리즘, 스마트 홈 기기, 자율주행자동차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이미 상용화되어 사용되고 있고 그 기술은 날로 발전하는 듯 합니다.

이렇게 발전하는 인공지능이나 로봇 기술에 투자하고 싶으나 어떤 회사가 가장 성장성 있는지 일일이 확인하기 어렵다면 AI 섹터 ETF에 투자하는 것도 좋은 선택지인 것 같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이러한 차세대 미래 먹거리 산업인 로봇과 AI 등의 신기술 기업에 투자하는 3개의 대표 ETF에 대해서 정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AI ETF

 

1. BOTZ - Global X Robotics & Artificial Intelligence ETF

 

2016년도부터 운용된 이 ETF는 미래에셋 글로벌인 Global X에서 운용하는 ETF로 공식명칭은 Global X Robotics & Artificial Intelligence ETF (BOTZ) 라고 합니다. BOTZ는 로봇과 AI의 활용 및 적용으로 이익을 추구하는 가능성있는 회사에 투자하는 것을 목표로 산업용/비산업용 로봇, 자동화, 그리고 자율주행 차량 관련 기업 등에 광범위하게 투자하고 있습니다.

BOTZ는 현재 기준 37개 기업에 투자중으로 상위 10개 기업이 동 ETF의 총 67% 차지하고 있으며, 상위 3개 기업은 각 9% 이상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어 편차가 큰 ETF로 보입니다. 투자국가는 미국(43.26%), 일본(35.87%)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한국도 0.63%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동 ETF 포함된 한국 기업은 레인보우로보틱스인데 23.1.27. 기준 동 ETF에서 1.13%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그 규모를 생각해보면 글로벌 AI 및 로봇시장에서 우리나라가 미치는 영향이 얼마나 미미한 수준인지 알수 있습니다.

BOTZ
출처 : ETF.com 홈페이지

현재 비교중인 3개의 ETF 중 운용규모가 가장 커서 안정성이 있어보입니다. 또한 보수는 0.68% 수준으로 패시브 ETF 등과 비교하면 보수가 큰편이나 액티브하게 관리되는 ETF 치고는 운용보수가 크지 않은 편입니다. 배당은 0.23% 수준으로 배당을 기대하기 보다는 성장성을 기대해야 하는 ETF인 것으로 보입니다. 

 

2. ROBO - Global Robotics and Automation Index ETF

 

2013년에 처음 출시된 ROBO ETF의 공식명칭은 ROBO Global Robotics and Automation Index ETF(ROBO)로 로봇, 자동화, AI등의 혁신을 주도하는 기업에 투자하는 것을 목표로 운용중에 있습니다. 클라우드 컴퓨팅이나 AI 기술 기반 관련 기업에 주로 투자중으로 현재 83개의 기업에 투자하고 있습니다.

투자의 대부분은 미국(44.89%)과 일본(20.56%)에 몰려있고, 상위 10%에 해당하는 기업의 비중은 17.49%이고, 그 중 가장 비율이 높은 기업도 2%대에 불과하여 분산효과가 큰 ETF 입니다.

ROBO
출처 : ETF.com 홈페이지

자산규모가 1.2억불로 규모가 크다보니 안정성이 있어 나쁘지 않다는 생각이 듭니다. 또한 최근 5년간 수익을 비교하였을 시 13.16%의 수익을 보여주고 있어 최근 시장이 급락했던 것을 고려하더라도 나쁘지 않은것 같습니다. 다만 운용보수가 0.98%로 현재 비교중인 3개의 ETF 펀드 중 가장 보수규모가 큽니다. 또한 분산을 많이 해두었다 보니 특정 업체가 급성장 하더라고 그 성장세를 따라가는 것은 어렵지 않나 하는 생각이 듭니다. 

 

3. IRBO - iShares Robotics and Artificial Intelligence ETF

 

글로벌 시장에서 유명한 자산운용사인 블랙록에서 출시한 동 ETF(IRBO)는 2018년에 출시되어 현재 비교중인 ETF 중 가장 최근에 시장에 나왔습니다. 그렇기에 블랙록에서 운용을 하고 있지만 운용규모도 아직 2천3백만불 수준으로 크지 않은 ETF 입니다. 

 

하지만 IRBO가 다른 ETF와 다른 점이 있다면 선진국이나 신흥국을 가리지 않고 다양하게 투자 포트폴리오를 구성하고 있다는 점인데요, 물론 미국 시장의 규모가 53%를 차지하고 있지만, AI 시장의 전통강자인 미국과 일본 외에도 홍콩, 타이완, 대한민국, 중국 등 아시아 시장의 다양한 기업들을 가장 많이 가지고 있는 ETF 입니다. 하지만 포진된 기업들이 AI나 로봇에 집중하기 보다는 클라우드나 반도체 등의 기업들도 있어 AI에 특화된 ETF라고 보기에는 조금 어려울것 같습니다.

현재 총 114개의 기업에 투자하고 있어 가장 분산효과가 뛰어난 ETF가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듭니다. 상위 10개 기업의 비중이 11.81% 수준이며, 가장 비중이 큰 기업도 비중이 1.45%에 불과하여 정말 다품종 소량 체제를 구축하고 있는 ETF인것 같습니다.

IRBO
출처 : ETF.com 홈페이지

현재 비교중인 ETF 중 운용규모는 가장 작고 운용보수도 0.47%로 액티브 ETF 치고는 조금 싼편인것 같습니다. 하지만 출시된 지 얼마되지 않아 얼마나 성장세를 보여줄지는 계속 지켜봐야 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4. 3개 ETF 중 어디에 투자를 하는게 가장 좋을까?

 

그럼 어떤 ETF가 가장 투자하기 좋을까요? 최근 5년간의 수익률을 비교해보았을 때, 승자는 IRBO였습니다. 가장 최근에 출시되었지만 지난 5년간 수익률은 26.17%였고, ROBO는 13.16%을 수익률을 내고 있습니다. 하지만 출시된 지 가장 오래된 BOTZ는 -13.69%의 수익을 보여주고 있어 가장 실적이 좋지 않아 보입니다.

AI ETF
출처 : ETF.com 홈페이지

 

3년의 기간으로 설정하여 비교하였을 때는 ROBO가 홀로 12.93%의 수익률을 기록하여 가장 좋은 실적을 보이고 있습니다.

나머지 2개의 ETF는 모두 마이너스 수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AI ETF
출처 : ETF.com 홈페이지

 

최근 1년으로 한정하여 비교하니 모두 마이너스 수익률을 기록하고 있는데, 그나마 ROBO가 가장 소폭으로 마이너스 수익을 내고있고, BOTZ가 가장 큰 낙폭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AI ETF
출처 : ETF.com 홈페이지

 

대신 최근 3개월을 보았을 때는 가장 하락폭이 컸던 BOTZ가 우세한 실적을 보여주고 있는데요, 그럼에도 나머지 두개 ETF도 수익률에 있어 큰 차이가 없어 보입니다. 

AI ETF
출처 : ETF.com 홈페이지

만약 운용되는 자산의 안정성과 규모, 그리고 낮은 보수를 고려하신다면 BOTZ가 조금 더 메리트가 있어보입니다. 하지만 보수는 조금 높더라도 좀더 높은 성장을 기대하신다면 ROBO가 좋은 선택지가 될 것 같습니다. IRBO는 로봇에만 특화된 ETF가 아닌 관계로 지금까지 수익성이 있었다 할지라도 저는 고려하지 않을것 같습니다.

사람들마다 보는 관점이 다르니 제 개인의견은 참고만 해주세요. 동 포스팅은 특정 주식 매매를 권하는 내용이 아닙니다. 투자에 대한 선택은 오로지 투자자의 몫입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댓글